2025년 소상공인 온라인 진출지원 확대 – 2025 E-commerce Expansion Initiative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English Summary
The 2025 E-commerce Expansion Initiative helps small business owners enter online markets through education, platform entry support, and logistics assistance. Learn how to qualify, avoid rejection, and grow stable online sales.
① 정책 개요
전자상거래 지원사업은 오프라인 중심 소상공인이 온라인 판매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정부통합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교육·입점·광고비 지원을 통합 운영하며, 제품 촬영과 상세페이지 제작 교육까지 포함됩니다. 특히 청년·여성기업, 지역특화상품 업체에는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② 지원내용
정부인증 쇼핑몰(스마트스토어·쿠팡·롯데ON 등) 입점비와 디지털광고 제작비를 최대 80%까지 지원하며, 추가로 상품사진 촬영비 30만 원, 콘텐츠 제작비 50만 원 한도 내 실비보조가 가능합니다.
사업기간 중 판매성과에 따라 2차 홍보비(최대 200만 원)도 추가 지원됩니다.
③ 진행절차
온라인 교육 수료 후, 입점희망몰과 판매품목을 선택하여 신청합니다.
심사 항목은 교육이수여부(30%), 상품경쟁력(40%), 홍보계획(30%)이며, 최종선정 시 컨설팅·입점등록·광고비 지원이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
④ 신청절차 유의사항
가장 많은 미승인 사유는 교육 수료 미이행, 지원제외 품목 등록, 사전 승인 없는 광고비 집행입니다. 수료증을 제출하지 않거나 잘못된 파일형식으로 첨부하면 접수가 무효 처리됩니다.
주류·의약품·건강보조식품 등은 자동 제외되며, 승인받지 않은 광고비를 개인이 선집행할 경우 소급지원이 불가합니다. 또한 사업자등록 업종과 실제 판매상품이 다를 경우 심사에서 반려됩니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되어도 30일 이내 판매활동이 확인되지 않으면 지원 취소될 수 있으므로, 신청 후 즉시 상품등록과 홍보를 시작해야 합니다.
⑤ 실무포인트
입점 이후에는 리뷰관리와 고객문의 대응속도가 중요합니다. 제품명에는 주요 키워드를 포함시키고, 사진은 3컷 이상 밝은 배경으로 촬영해야 클릭률이 높아집니다. 재고부족·배송지연은 계정평점 하락으로 이어지므로, 초기엔 소량판매로 운영안정도를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핵심은 ‘지속관리’입니다. 온라인 진출은 지원금이 아니라 첫 걸음입니다.
리뷰·재구매율·광고성과를 꾸준히 관리해야 매출이 유지됩니다.
🔗 관련정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온라인시장 진출사업: https://ols.semas.or.kr/
중소벤처기업부 전자상거래 지원정책: https://www.mss.go.kr/
기업마당 온라인판매 공고: https://www.bizinfo.go.kr/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