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사업 – Assistive Device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2025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Focus on❗
The 2025 Assistive Device Support Program provides financial aid and access to essential equip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is guide explains eligibility, benefits, and how to apply.
①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보조하는 장비는 단순한 도구 그 이상입니다.
휠체어나 보청기처럼 신체 기능을 보완하는 보조기기는 사회참여와 독립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해주며,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합니다. 2025년에도 정부는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사업을 확대 실시하며, 전국 어디서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② 2025년 보조기기 지원사업은 장애인복지법 제65조에 근거하여 시행되며, 보건복지부와 각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주관합니다. 지원 대상은 등록 장애인이며, 소득기준에 따라 지원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저소득 중증장애인에게 집중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며, 전동휠체어, 자세유지의자, 보조공학기기 등 고가의 장비도 포함됩니다.
③ 신청은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해당 지자체의 복지 담당 부서에서 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장애인 등록증,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의사의 보조기기 처방전 등이 있으며, 온라인 신청은 아직 불가하므로 직접 방문 접수가 필요합니다. 단, 일부 지자체에서는 사전 예약제를 운영하므로 사전에 전화 문의를 권장합니다.
④ 지원금은 보조기기의 종류에 따라 10만 원~500만 원까지 차등 지급되며, 일부 본인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민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에 한해 전액 지원이 가능하므로, 본인의 소득구간을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동일 보조기기에 대한 지원 주기는 최소 5년으로, 중복 신청은 불가합니다.
⑤ 주의할 점은 보조기기 구매 전 반드시 사전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무작정 기기를 구입한 후 신청하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처방전 발급과 행정센터 승인 이후에 구입 계약을 체결해야 합니다. 승인 후에는 지정된 업체를 통해 제품을 수령하며, 이후 사용 후기는 추후 평가에 반영되어 다음년도 예산 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⑥ 2025년 사업에서는 보조기기 수리비 지원도 신규 포함되어 기존 사용자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갑니다. 파손된 보조기기에 대해 공식 수리비의 최대 80%까지 지원되며, 올해부터는 보장구 내구연한 도래 전 수리도 가능합니다. 이 부분은 특히 장기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항목으로, 사후관리 영역까지 복지체계가 확장된 긍정적인 사례입니다.
⑦ 만약 본인이 지원 대상인지 헷갈린다면, 장애인종합지원센터(1577-1006) 또는 거주지 복지센터에 전화해 빠르게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의 이번 정책은 단순히 장비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자립생활과 사회활동 참여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매우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특히 학생, 직장인, 노년층 장애인에게 각각 맞춤형 기기가 제공되므로 다양한 계층이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이렇게 기억해 주세요
2025년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사업은 등록 장애인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소득 수준에 따라 전액 또는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전 승인을 반드시 받아야 하며, 기기 구매 전 절차 확인이 가장 중요합니다. 올해는 특히 중증장애인과 저소득층에 대한 혜택이 강화되었으므로, 빠르게 정보 확인 후 신청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정보
국민연금공단 사회보험료 지원 안내: https://www.nps.or.kr/
건강보험공단 지역가입자 지원 제도: https://www.nhis.or.kr/
보건복지상담센터(1355) 정보: https://www.129.go.kr/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