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난임부부 시술비 정부지원 확대 안내 – 보조생식 의료비 경감 혜택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Focus on❗
Infertility Treatment Support in 2025 – Expanded Government Funding for Assisted Reproduc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increased public funding for infertility treatments such as IVF and IUI, expanding eligibility and reducing cost burdens for qualifying couples. This guide outlines who qualifies, what’s covered, and how to apply without missing key requirements.
📌 ① 도입부
2025년부터 난임 시술비에 대한 정부지원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고액의 시술비 부담으로 치료를 미루던 부부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며, 소득 기준 완화와 지원 횟수 확대를 통해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② 제도 개요
난임부부 정부지원사업은 체외수정(IVF), 인공수정(IUI) 시술을 받는 부부에게 의료비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이 공동 운영하며, 연령과 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건강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 비급여 항목도 일부 보조됩니다.
📌 ③ 지원대상 및 자격요건
→ 법적 혼인 또는 사실혼 부부 모두 가능
→ 여성 기준 만 45세 미만 (시술 개시일 기준)
→ 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예 : 4인 가구 기준 약 914만 원 이하)
→ 과거 시술 지원 이력 있어도 신청 가능
→ 1차 진단서와 난임 진단기록 제출 필수
📌 ④ 지원내용 및 금액
→ 체외수정(IVF) 최대 9회 지원
└ 신선배아 1~4회 / 동결배아 5회
→ 인공수정(IUI) 최대 5회 지원
→ 1회당 최대 110만 원까지 지원
→ 본인부담금 기준이므로 병원별 차이 있음
→ 건강보험 적용 시 급여항목 우선 적용 + 비급여 일부 보조
📌 ⑤ 신청 방법
신청 절차는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 난임 진단서, 신분증, 건강보험자격확인서 제출
→ 지원 자격 심사 및 대상자 선정
→ 의료기관 지정 후 시술 진행 및 지원금 정산
📌 ⑥ 신청 시 주의사항
📷 (이미지명: 난임시술 지원주의사항)
→ 시술 시작 전 신청 필수, 사후 신청 불가
→ 병원별 지원가능 여부 사전 확인 권장
→ 난임 진단서는 최근 발급분만 인정
→ 온라인 신청 시 서류 누락 빈번하므로 첨부파일 확인 필수
→ 중복지원·기재불일치·허위진단 등은 지원금 환수 사유
💭 이렇게 기억해 주세요
난임 시술비 지원은 ‘진단 이후’가 아니라 ‘신청 이후’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시술 전에 반드시 신청을 완료해야 하며, 지정된 의료기관을 통해야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소득 기준이 해마다 바뀔 수 있으므로, 매년 공고문을 확인하고 최신 기준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관련정보
보건복지부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안내: https://www.mohw.go.kr/react/policy/policy_bokji.jsp?PAR_MENU_ID=06&MENU_ID=06050301
복지로 난임시술 정부지원 신청: https://www.bokjiro.go.kr/
정부24 난임부부 정부지원 서비스 정보: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129000000048
댓글
댓글 쓰기